반응형
가능한 한 간단해야 하지만, 지나치게 간단해서는 안 된다. - 아인슈타인
공학의 흥미와 호기심을 높이는 책 추천
공대 학생 또는 신입생들이 읽으면 무조건 좋은 책
<디자인 인간공학 101>
추천 대상
당연히?공대생- 디자인 공부가 필요한 사람
- 제품 제작을 앞두고 있는 사람
![]() |
|
3줄 결말
디자인 이론을 알 수 있다.
제품 디자인 요소를 알 수 있다.
시스템?을 알 수 있다.
책 소개
[제품 최종 단계 디자인]
디자인이 제품 심미성을 담당하는 소극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제품을 기획하고 설계하며, 최종 결과물까지 만들어 내는
역할로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좋은 디자인이 갖춰야 할 조건은 크게 독창성, 사용 편의성, 정체성, 육감 만족이 있습니다.
독창성 : 평범함을 거부하는 소비자의 눈길을 끌 수 있도록 다른 제품과 구별되는 차별적인 요소를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감성을 만족하게 하는 개념이다.
사용 편의성 : 신체적, 인지적으로 사용하기 쉽고안전하게 디자인하는 것을 말한다.
정체성 :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업의 고유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디자인을 의미한다.
육감 만족 : 감각적 요소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감성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디자인해야 좋은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와 디자인 이슈]
오늘날 사람들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마트 기기를 말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수많은 물건과 제품을 올바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디자인 원칙과 가이드라인 이해가 필요해요.
이를 '디자인 지수'라고 하는데 결론적으로 일상생활을 잘 영위해 나가기 위해서는 ‘디자인 지수’를 향상할 필요가 있습니다
. = 일상생활에서 이질감이 없어야 한다

[인간 – 기계 인터페이스]
를 설계할 때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4가지
신체적 특성
인터페이스 외형 즉, 모양과 크기 등 물리적 요소를 설계할 때는 인체 측정학적 측면에서 사용자 신체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버튼 크기, 버튼 누름 강도
사용성
사용자의 오류를 줄이고 사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물건 및 제품을 사용하는 순서나 방법 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ex) 홈 버튼을 길게 누르면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게 할 것 인가?
감성 만족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인간의 감성적 만족에 관련된 것으로 제품 설계 시 사용자가 느끼는
즐거움과 기쁨을 고려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ex) 아이폰
ex) 세그웨이
본체 안에 들어있는 자이로스코프 센서가 자동으로 중심을 잡아주어 몸을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이기만 하면 저절로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사용자의 직관적인 행동에 따라 쉽게 조종할 수 있도록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좋은 사례입니다.
마지막으로 책 내용 일부를 첨부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